본문 바로가기
돈되는 정보

2023년 1월 청년도약계좌 가입일정, 가입과정, 정부기여금 확인방법

by 그녀는은하수 2024. 3. 13.

2023년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제가 직접 청년도약계좌 가입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과정을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만기 5년(60개월)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최대 5,000만 원까지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상품이죠. 가입조건이나 금리, 정부 기여금에 대한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가입 일정

청년 도약계좌는 매월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12월의 신청기간은 끝났습니다.

  • 가입신청 기간 : 1월 2일(화)부터 1월 12일(금)까지.
  • 요건확인 기간 : 1월 15일(월)부터  1월 26일(금)까지.
  • 개좌개설(1인가구) : 1월 18일(목)부터 1월 26일(금)까지.
  • 개좌개설(적격자 전체) : 1월 29일(월)부터 2월 8일(목)까지.


가입 과정

요건 확인 기간에 심사를 진행하여 은행으로 적격여부를 통보합니다. 그리고 은행에서 개인에게 통보를 하죠.

우선 가입신청 기간에 은행 앱에서 청년도약계좌를 검색해서 가입페이지지로 접속해서 가입신청을 합니다. 저는 국민은행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심사가 완료되고 적격자로 판단됐으면 은행에서 문자가 올 겁니다.

 

 


그리고 은행에서 말한 기한 내에 계좌를 개설을 하고 납입을 하면 됩니다. 청년 도약계좌의 경우 전용 페이지가 있어서 정부기여금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알고 있어야  점은 정부 기여금은 한 달 늦게 들어온다는 것입니다. 만약 1월에 계좌를 개설해서 40만 원을 넣었다면 1월 정부 기여금은 다음 달, 2월 10일에서 15일 사이에 들어옵니다. 혹시라도 정부 기여금이 안 들어왔다고 고민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다음 달말에도 안 들어온다면 문의를 해보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혜택이 많은 상품입니다. 부담이 없는 선에서는 꼭 혜택을 보시길 바랍니다. 게다가 언제든지 납입한도를 줄일 수도 있으니 부담도 적습니다. 청년도약계좌 1월 신청 늦기 전에 꼭 하시길 바랍니다.

 

댓글